식품이나 요식업 관련업에 종사하고자 한다면 보건증 제출을 해야 합니다. 보건증 발급은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어 쉽고 간편하게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건증 발급 방법 및 유효 기간, 발급 비용 등을 자세히 확인해보겠습니다.
보건증 발급 방법
보건증은 건강진단결과서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1) 보건소, 병원에서 검사받기
병원에서 건강 진단 검사를 받은 후 그 결과서를 발급받는 것이기 때문에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먼저 보건소, 지정 병원에서 검사를 해야 합니다.
위 버튼을 눌러 지도에서 보건소를 입력하면 현재 내 위치에서 가까운 보건소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보건증 검사는 보건소 외에 지정 병원에서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 비용 면에서 보건소 검사가 가장 합리적입니다.
또한, 보건증 발급을 인터넷으로 받고자 한다면 병원이 아닌 보건소에서 검사해야 인터넷 발급이 가능합니다.
2) 보건증 검사 방법, 항목
보건증 검사를 위해 보건소 또는 병원을 방문하면 크게 3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검사를 합니다.
장티푸스, 폐결핵, 전염성 피부질환 위주의 기본 검사를 하게 됩니다.
보건증 발급 검사를 위해 병원을 방문한다면 신분증을 챙기시기 바랍니다.
3) 보건증 발급 검사 비용
앞서 보건증 발급 시 보건소에서 검사를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했습니다.
아무래도 보건소 검사 시 비용이 가장 저렴합니다.
보건소에서 보건증 발급 검사 시 비용은 3천 원입니다.
지정 병원의 경우 보건증 검사 비용이 7천 원에서 3만 원까지도 한다고 하니 가급적 가까운 보건소를 찾아 검사하시길 추천합니다.
보건증 발급 검사 후 결과 판정까지는 5일 내외로 소요된다고 하니 일정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보건증 발급받기
보건소 또는 병원에서 보건증 검사를 받았다면 인터넷을 통해 보건증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E-보건소 홈페이지, 정부24 홈페이지에서 보건증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 버튼을 누르면 E-보건소 보건증 발급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발급 전 유의 사항 동의 후 간편 인증 로그인을 한 후 보건증 발급 신청을 하면 됩니다.
정부24 홈페이지에서도 민원 신청을 통해 보건증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민원서비스 메뉴에서 보건증 또는 건강진단결과서 발급을 검색합니다. 해당 페이지로 이동한 후 발급 신청을 하면 됩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 시 비용은 무료입니다.
보건증 검사를 한 보건소에 방문하여 발급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보건소를 방문한 후 신분증을 제시하면 발급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건증 발급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보건증이 필요한 분들은 위 정보를 잘 확인하신 후 간편하게 발급받아 보시기 바랍니다.-다른 정보들
여권 재발급 온라인 신청 (준비물, 기간)
최근 해외여행이 늘면서 여권 재발급을 받으시는 분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여권 재발급은 방문 없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 알고 계신가요? ☝️여권 재발급 정보 한 번에 보기⏩ 이번
must.allinfors.com
독감 무료예방접종 (대상, 기간, 병원 정보)
2023년 독감 무료예방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독감 무료예방접종 대상은 어르신 외에도 임신부, 어린이 등이 있는데요. 📌2023 독감 무료접종 대상 확인👉 이번 글에서는 올해 독감 무료예방접
must.allinfors.com
상호로 사업자등록번호 찾기 (조회)
사업자등록번호 확인이 필요한데 다른 정보는 알지 못한다면 상호로 사업자등록번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쉽게 상호로 사업자등록번호를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must.allinfors.com
댓글